자존감과 위대함 사이, 위플래시

by ThePupil
위플래시

“예술은 예술가의 불행을 먹고 자란다”

이 말은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기쁨, 슬픔, 비참함, 질투, 외로움…

이 모든 감정을 느껴본 사람만이 진정한 예술을 할 수 있다는 것과, 끊임없는 연습의 고통을 인내하며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사람만이 시대를 뛰어넘는 예술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다미엔 차젤레 감독 이야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Whiplash (위플래시)는 후자의 메시지를 담은 영화다.

버디 리치 같은 전설적인 드러머가 되고 싶어하는 앤드루와, 시대를 뛰어넘는 아티스트를 양성하고 싶어하는 플레쳐 교수 사이에서 일어나는 협업과 갈등 속에서 위대한 드러머가 태어나는 순간을 극적으로 그려냈다.

“세상에서 가장 쓸데없는 말이 그만하면 잘했어야”

플레처 교수가 앤드루에게 자신이 학생들을 과도하게 다그쳤던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나도 어렸을 때부터 가장 싫었던 글귀 중 하나가 “최고보다 최선을!”이었다. 최고를 목표로 하지 않고서는 최선이 나올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어떤 과정이든 돌아보면 더 나은 개선안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나는 최선을 다했어”라는 생각은 나 자신을 나태하게 해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갉아먹는다고 생각한다.

물론 영화 내에서 앤드루처럼 최고를 향한 집착이 스스로를 갉아먹을 수도 있다. 그렇기에 건강한 자존감과 최고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 사이에서 우리는 모두 자기만의 균형을 찾아야 한다.

그렇다면 과연 꿈을 이루는데 자존감이 얼마나 필요한 것일까?

영화속에서 나를 불편하게 만든 것이 있었다. 앤드루는 자신의 우상 버디 리치같은 드러머가 되기 위해 피나는 연습을 한다. 하지만 때로는 본연의 목표보다 플렛처 교수의 인정에 더 목말라 있는 것 같았다. 플렛처 교수가 일부러 앤드루를 도발하기 위해 다른 학생의 연주를 칭찬했을 때 그는 “Bull Shit” 을 외치며 화를 낸다. 자신의 파트를 빼앗겼다는 사실에 대한 분노가 소심한 앤드루마저 절대 권력의 플렛처 교수에게 반기를 들게 만들었다.

여기서 무엇보다 이상했던 점은 본인이 경쟁자보다 연주를 잘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플렛처 교수의 인정을 받고 싶어했다는 것이다. 앤드루의 자존감이 본인의 드럼 실력이 아닌 플레쳐 교수의 칭찬에 의존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물론 교수로 부터 인정 받지 못한다면 훌륭한 관중 앞에서 연주할 기회를 잃을 수 있다, 음악계에서는 인맥이 매우 중요하다 등의 현실적인 이유들 때문일수도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의 연주 실력이 아닌가? 자신의 실력을 믿을 수 있을만큼 피나는 연습을 해놓고, 정작 그 믿음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찾는 앤드루의 모습을 보며 지금 나의 모습이 그런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에 잠겼다.

이런 맥락에서 나는 앤드루가 플레쳐 교수에 정면으로 맞서서 스스로 무아지경의 연주를 시작하는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잠겨 있던 족쇄가 풀리는 듯한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었다.

우리가 걷는 길 끝에도 그런 카타르시스가 기다리고 있을까?

자존감과 위대함 사이,

The Sober Bard

You may also like